쿠릉쿠릉 쾅쾅
쿠릉쿠릉 쾅쾅
쿠릉쿠릉 쾅쾅
250x250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HTML CSS
    • 잡담
    • 프로그래밍 꿀팁 사이트
    • 코딩 도서
    • [자바]
      • 디자인 패턴
      • 자바의 정석 - 3판
      • 자바
      • 자바 문법
    • git
    • [TDD]
    • 개발 서적 독후감
      • 클린 코더
      • 토비 스프링3
      •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
      • 모던 자바 인 액션
      • 엘레강트 오브젝트
    • CS
      • 운영체제
      • HTTP
    • [SQL]
      • SQL 기초
      • 혼자공부하는SQL
    • [ Spring ]
      • REST API
      • Spring Toy
      • Spring 에러
      • Spring
      • Spring 입문
      • Spring 핵심 원리
      • SpringMVC 1편
      • SpringMVC 2편
      •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ful We..
      • Batch
    • [JPA]
      • JPA
      • JPA 에러
      •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
      •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1 - 웹 애플리케이..
      • 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- API 개..
      • 실전! 스프링 데이터 JPA
      • 실전! Querydsl
    • 인텔리제이
    • [DB]
      • DB
      • H2
    • Gradle
    • 면접
    • [알고리즘]
      • 알고리즘
      • 자료구조
      • 자바 알고리즘 공부
    • [프로젝트]
    • 쿠릉식 객체지향 사고
    • 리눅스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REST API
  • Spring
  • 자료구조
  • 깃허브
  • GitHub
  • http
  • 재귀
  • 알고리즘
  • SQL
  • springboot
  • querydsl
  • MVC
  • 스프링부트
  • Git
  • java
  • 스프링
  • 백준
  • 함수형인터페이스
  • JPA
  • 자바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쿠릉쿠릉 쾅쾅

쿠릉쿠릉 쾅쾅

[Spring] 멀티 쓰레드
[ Spring ]/SpringMVC 1편

[Spring] 멀티 쓰레드

2022. 2. 11. 03:12
728x90

 

 

 

쓰레드

  • 쓰레드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한다.
  • 자바 메인 메서드를 처음 실행하면 main 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된다.
  • 쓰레드가 없다면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불가능하다.
  • 쓰레드는 한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한다.
  •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해야 한다. 

 

  • 쓰레드가 서블릿 객체를 호출한다.

 

 

🔍 단일 요청 - 쓰레드 하나 사용

 

 

  • 하나의 요청에서 하나의 쓰레드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.

 

 

🔍 다중 요청 - 쓰레드 하나 사용

 

 

  • 요청이 여러 개 일 때 쓰레드가 한 개일 경우 1개의 쓰레드는 1개의 요청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중인 요청이 끝날 떄 까지 다른 요청은 기다려야한다.

 

 

  • 결국 쓰레드 하나로 다중 요청을 처리하다가 지속된 처리 지연으로 인해 WAS 서버가 죽어버렸다.

 

 

 

🔍 해결방법1 →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

  • 장점
    • 동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.
    • 리소스(CPU, 메모리)가 허용할 때 가지 처리 가능
    • 하나의 쓰레드가 지연 되어도 나머지 쓰레드는 정상 동작한다.
  • 단점
    • 쓰레드는 생성 비용은 매우 비싸다.
      •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면, 응답 속도가 늦어진다.
    • 쓰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한다.
    • 쓰레드 생성에 제한이 없다.
      • 고객 요청이 너무 많이 오면, CPU, 메모리 임계점을 넘어서 서버가 죽을 수 있다.

 

 

 

🔍 해결방법2 → 쓰레드 풀 생성

  • 특징
    •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 방식의 단점을 보완했다.
    • 필요한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한다.
    • 쓰레드 풀에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를 관리한다. (톰캣은 최대 200개 기본 설정. 변경 가능)
    • WAS의 주요 튜닝 포인트는 최대 쓰레드(max thread) 개수이다.
      • 쓰레드 풀에 쓰레드 개수를 너무 적게 설정하면 동시 요청이 많아 질 때 클라이언트 응답이 지연된다.
      • 쓰레드 풀에 쓰레드 개수를 너무 많게 설정하면 동시 요청이 많아 질 때 CPU, 메모리 리소스 임계점 초과로 서버 다운이 일어 날 수 있다.
      • 쓰레드 풀로 인해 장애가 발생할 경우 클라우드면 일단 서버부터 늘리고, 이후에 쓰레드 개수를 튜닝해야 한다. 만약에 클라우드가 아니면 열심히 튜닝해야 한다.
  • 사용
    • 쓰레드가 필요하면, 이미 생성되어 있는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서 꺼내서 사용한다.
    • 사용을 종료하면 쓰레드 풀에 해당 쓰레드를 반납한다.
    • 최대 쓰레드가 모두 사용중이어서 최대 풀에 쓰레드가 없으면, 기다리는 요청은 거절하거나 특정 숫자만큼만 대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.
  • 장점
    • 쓰레드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므로, 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(CPU)이 절약되고, 응답 시간이 빠르다.
    •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.

 

 

💡 쓰레드 풀의 적정 쓰레드 개수

  • 적정 쓰레드 개수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복잡도, CPU, 메모리, IO 리소스 상황에 따라 모두 다르다.
  • 성능 테스트를 통해 개수를 정해야한다.
    • 최대한 실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성능 테스트 시도해야 한다.
    • 툴 : 아파치 ab. 제이미터, nGrinder

 

💡 WAS의 멀티 쓰레드 지원

  • 멀티 쓰레드에 대한 부분은 WAS가 처리한다.
  • 개발자는 멀티 쓰레드 관련 코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.
  • 개발자는 싱글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편리하게 소스 코드를 개발하면 된다.
  • 멀티 쓰레드 환경이므로 싱글톤 객체(서블릿, 스프링 빈)는 주의해서 사용해야한다.

 

728x90

'[ Spring ] > SpringMVC 1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pring] 자바 웹 기술 역사  (0) 2022.02.12
[Spring]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,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SR)  (0) 2022.02.11
[Spring] HTML, HTTP API  (0) 2022.02.11
[Spring] 서블릿  (0) 2022.02.11
[Spring] 웹 서버, 웹 애플리케이션  (0) 2022.02.11
    '[ Spring ]/SpringMVC 1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Spring]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,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SR)
    • [Spring] HTML, HTTP API
    • [Spring] 서블릿
    • [Spring] 웹 서버, 웹 애플리케이션
    쿠릉쿠릉 쾅쾅
    쿠릉쿠릉 쾅쾅
    깃허브 주소 : https://github.com/kureung

    티스토리툴바